top of page
작성자 사진J M

카카오톡과 아줌마 (2)

‘전화 좀 받아!’ 친구들의 원성이 잦다. 사실 나는 전화 받기와 전화 걸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전화를 받고 거는 일이 뭐가 어려운 일이겠느냐 만은, 나에게 전화를 받고 거는 일은 어려운 일은 전혀 아니고 단지 귀찮고 불편한 일이 되어버린 지 꽤 오래다. 외국에 혼자 나가 있으면서 전화를 할 일이 줄어 들었고, 동시에 전화가 올 일도 거의 없었다. 내가 필요한 곳에 연락을 해야하거나 혹은 간단한 sms를 주고 받아야 하는 경우에만 쓰여진 휴대전화, 모바일이라고 하는 그것을 통해 전화를 걸고 받는 일이 어색해져 버렸다.

매번 같은 이유로 전화를 못받았다고 해 봐도 사실 듣는 사람들에게는 구차한 변명으로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정말로 나는 내 휴대전화와 늘 같이 있지도 않고, 책상에 두거나 가방안에 놔두거나 하고 전화가 오는것에 별로 관심이 없다. (많이 오지도 않고) 그리고 또 한 가지 이유는, 메시지로 이야기하는게 더 편하다. 물론 글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때때로 오해를 불러올 소지가 있기도 하지만, 메시지를 통해 전하는 내용이 객관적으로 전달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더 크다, 적어도 나에겐. 다른 일로 기분이 쳐져 있거나 혹은 반대로 너무 기분이 좋아서 미쳐버릴때 전화가 오면 그러한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지게 되는데, 그러한 ‘날 감정’이 전해지는게 나는 가끔 불편하다.

그리고 또한 메시지는 다른 사람들과 있을때나 내가 무슨 일을 할때 분위기와 흐름을 끊지 않고 조용히 메시지만 보내고 또 다시 그 분위기 속으로 들어올 수가 있지만, 전화로 이야기를 하게 되면 분위기와 흐름이 끊기게 되더라. (이렇게 이야기 하고 보니 내가 무슨 ‘전화 거부녀’ 같은 느낌이 들지만. 뭐 아무튼, 포인트는 나는 전화보다는 메시지로 이야기하는게 (전과 비교 했을 때) 더 편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전화가 불편하다는 뜻은 아니고, 반드시 필요한 전화 즉 전화로 이야기를 지금 당장 해야하는 경우에는 전화를 해도 전혀 불편하지 않다.

전화 혹은 메시지로 소통하는것에 대한 내 개인적인 의견이 길어졌다. 내가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카톡에 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이다. 카톡! 나는 카톡이 참 편하고 좋다. 카톡이 있기 전에 우리는 문자 (sms)로 ‘문자소통’을 했었다. 카톡을 사용하고 나서 그 편리함에, 특히 나같이 ‘문자성애자’같은 사람들에게는 정말 대단한 앱이 나타났구나 라고 생각이 들었다. 해외에서 그것도 실시간으로 한국에 있는 내 친구와 가족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니!! 게다가 공짜!

이 카톡은 날로 발전하더니 이제는 보이스톡 비디오톡등의 어마어마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내가 매주 가던 중국아줌마가 하는 국제전화카드 파는 곳에는 몇 년 전부터 전혀 갈 일이 없게 되었고, 전화를 들고 전화카드 번호를 넣고 다시 한국의 전화번호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도 사라진 지 오래. 카톡에서 우리엄마를 선택해서 보이스톡 버튼을 누르면 성당에서 아침미사를 마치고 나오는 우리엄마, 남대문 시장 도깨비시장에서 구경하고 있는 우리엄마, 친구들과 당구치러 가신 우리아빠를 바로 만나 뵐 수 있다. 아이신기하고신기한이세상!


카톡은 이제 더 이상 ‘신기하고 편리한 우와 대단한 모바일커뮤니케이션 앱’이 아니다. 카톡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일상생활 속의 소통 도구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고, ‘카톡하자’는 이제 ‘이메일하자’ 혹은 ‘전화하자’보다 더 자연스러운 것이 되어버렸다. 카카오톡에서 아까 얘기했던 그것들을 이야기 해 볼까? 라고 길게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그저 ‘카톡해’라고 하면 모든 뜻이 다 들어가 있으니까.

한국사람들은 축약형 단어를 굉장히 좋아한다. 카카오톡이 사실 긴 단어도 아닌데 카톡으로 줄였고, 그 외에 요즘 ‘청소년’들이 많이 쓰는 단어들만 봐도 이러한 축약형이 어마어마 하다. (가끔 아니 꽤 자주, 그들이 사용하는 축약형 단어가 뭔지 몰라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봐야 하기도 한다…) 물론 이런 축약형 단어가 우리나라에만 있는건 아니고 호주에도 있고 다른 나라에도 많이 있다. 아마도 단시간에 짧고 굵게 이야기해야하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해 그렇게 된 것 같기도 하고. (정확한 레퍼런스를 찾지 않아서 확신할 수는 없으나 유추는 되는)

아무튼, 뭐 말도 안되는 축약형 단어는 나는 쓰고 싶지도 않고 이해도 안되는 경우가 많지만 예를 들어 ‘카톡하자’ 등과 같은 축약형은 너무 재미있고 매우 한국적이라서 좋다. 셀프카메라도 셀카라고 하지 않았는가? 물론 지금은 Selfie 라고 하지만 나는 아직도 셀카라는 단어가 더 정감가고 좋다. (셀카 Sel-Ca에 관한 논문도 있다, 한국인들의 셀카문화에 관한 재미있는 논문) 이렇듯 카톡은 카카오톡을 단순히 입에 담기 쉽게 줄인 단어이지만, 카톡하자! 이 짧은 문장엔 한국사람들의 현재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행태에 대한 모든것들이 들어있다. 그래서 카톡, 카톡하자 라고 하는 이러한 우리만의 문화가 재미있고 색다르게 다가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있기 이전의 시대, 즉 프리 스마트폰시대 (pre-smartphone era)에는 직접적인 소통방법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모바일폰이 있었어도 우리는 목소리를 통해 이야기했고, 문자소통은 이메일과 문자 (sms) 뿐이었다. 하지만 많은것이 바뀌고 있다. 지금도 계속해서. 우리는 이제 카톡을 하고 카톡을 통해 더 다양한 것을 꿈꾼다. 카톡에 관한 논란은 아직도 계속 되고 있긴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지금 우리는 카톡을 통해  소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에는 아줌마들이 카톡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조회수 1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Mukbang by Grandmoth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Mukbang in Korea. I just found this Grandmother’s channel on Youtube and she did Mukbang. Her Mukbang style is...

Comments


bottom of page